연구 보고서

검증대상

 배우 김새론이 지난 2월 16일 자택에서 숨진 채 발견된 이후사망 전까지 고인에게 집중되었던 온라인 비난 여론을 죽음의 원인으로 꼽는 언론 보도가 다수 등장했다고인은 2022년 5월에 음주운전 교통사고를 내며 활동을 중단한 바 있다연예계 복귀를 시도함이 알려지기도 했으나거센 비난 여론에 직면한 뒤 무산되었다

 영국의 공영 매체 BBC는 지난 2월 19일 '현실판 오징어 게임'...배우 김새론의 죽음이 보여주는 한국 연예계 문화라는 제목의 기사를 온라인 지면에 공개해 한국의 연예인들에게 적용되는 도덕적 잣대가 유독 엄격함을 비판적 논조로 보도했다. BBC는 한국의 자살률도 언급하며, “한국은 선진국 중 자살률이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로전반적인 자살률은 감소하고 있으나 20대의 자살률은 증가하고 있다고 했다(BBC, 2025). 

 한국경제머니S, 뉴스1, 뉴시스 등 여러 국내 매체가 BBC의 해당 보도를 인용했는데뉴시스는 BBC가 한국은 선진국 중 자살률이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로전반적인 자살률은 감소하고 있으나 20대의 자살률은 증가하고 있다고 언급한 부분을 기사 내에서 그대로 다루기도 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c3c0b1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863pixel, 세로 310pixel  

[그림 1] 뉴시스의 BBC 인용 보도출처뉴시스(2025)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c3c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720pixel, 세로 821pixel  

[그림 2] 국내 언론의 BBC 인용 보도 예시출처뉴스1(2025) 

 

검증명제

 본 연구는 사실 명제로써 한국의 전반적인 자살률은 감소하고 있으나 20대의 자살률은 증가하고 있다라는 BBC의 보도 내용을 검증한다

 

검증방법 

 

1) 취재방법 

 본 연구는 문헌 조사 방법을 채택해 대한민국 통계청이 가장 최근 갱신한 2013~2023년까지의 국민 자살률을 검토하였다또한 동 기관이 제공하는 성별 및 연령집단별 자살률」 통계를 참고하여 20대 자살률의 증감 현황을 확인하였다추가로, BBC가 최초 보도 당시 대한민국 통계청 이외 기관의 자료를 참고했을 가능성을 고려해 BBC에 근거 자료를 요청하였다

 

2) 참고문헌 

Kelly Ng. (2025). “'Real life Squid Game': Kim Sae-ron's death exposes Korea's  celebrity culture”. BBC. 2025년  2월 19     https://bbc.com/news/articles/c86pl55x0qno

이재훈. (2025). "김새론 죽음韓 연예계 '오징어게임 실사판'이기 때문". 뉴시스. 2025년  2월 20. https://www.newsis.com/view/NISX20250220_0003072915#

박형기. (2025). "김새론 죽음은 연예계가 오징어게임 실사판이기 때문". 뉴스1.   2025년  2월 20. https://www.news1.kr/world/asia-australia/5696098

고정삼. (2025). 외신 김새론 죽음한국 연예계가 '오징어게임 실사판'인 탓". 한국경제 2025년 2월 20.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22082237

김다솜. (2025). "BBC ’김새론 죽음한국 연예계가 오징어게임 실사판이기 때문‘“. 머니S.  2025년 2월 20. https://www.moneys.co.kr/article/2025022014341391568

지표누리. (2024). 자살률.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8040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2024). 전국 5년 전체 자살률 추이https://kfsp-datazoom.or.kr/

보건복지부. (2024). 2023년 자살사망통계 발표.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503010100&bid=0027&act=view&list_no=1483270&tag=&nPage=1

 

검증내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hart509101_1Img (1).pn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28pixel, 세로 370pixel  

[그림 3] 2013~2023년 대한민국 자살률출처통계청(2024) 

 

 통계청에서 공개하는 자살률은 인구 10만 명당 자살자 수를 뜻하며, 2025년 2월을 기준으로 2023년까지의 수치가 갱신되어 있다상기 그래프와 같이대한민국의 자살률은 일관되게 상승하거나 감소하지 않고 시기별 증감 추이를 보임이 확인되었다. 2023년을 기준으로 이전 10년간의 통계를 살펴보았을 때, 2013년부터 2017년까지는 꾸준히 자살률이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2018~2019년에 걸쳐 상승한 자살률은 2020년을 기해 다시금 감소한 뒤 2021년에 소폭 상승했다. 2021~2022년을 지나며 감소한 수치는 2022~2023년에 재차 상승세를 맞았다이처럼 대한민국의 자살률은 증가‘ 또는 감소와 같은 단일 표현으로 설명하기 어려운 경향을 보이며전반적인 자살률이 감소하고 있다는 BBC의 보도와 달리 최신 통계(2022~2023)는 자살률이 증가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c3c000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21pixel, 세로 543pixel  

[그림 4] 전국 5년 전체 자살률 추이출처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2024)

 

 보건복지부(2024)가 발표한 2023년 자살사망통계 발표에 따르면전년 대비 연령대별 자살 사망자 수는 60(13.6%), 50(12.1%), 10(10.4%) 순으로 증가폭이 컸다. BBC는 20대의 자살률 증가를 강조해 보도했으나, 2023년을 기준으로 연령대별 자살률은 10대 다음으로 20대가 가장 낮았다같은 해의 20대 자살률이 전년 대비 상승한 것은 맞으나해당 나이대의 이전 10년간 자살률이 상승한 시기는 2017~2021년과 2022~2023년 두 구간이었다이외 시기에는 20대의 자살률이 감소 추세를 보였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b7009a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391pixel, 세로 519pixel  

[그림 5] 성별 및 연령집단별 자살률출처통계청(2024) 

 

검증결과 

 본 연구 결과 한국의 전반적인 자살률은 감소하고 있으나 20대의 자살률은 증가하고 있다는 BBC의 보도는 대체로 거짓으로 판명되었다지난 10년간 한국의 전반적인 자살률은 불규칙적인 증감 추세를 보여 증가‘ 또는 감소로 단언하기가 어렵다이러한 경향은 [그림 3]의 표를 인구 만 명당 자살자 수로 치환한 [그림 6]에서 더욱 두드러진다특히가장 최근 갱신된 수치에 따르면 자살률이 오히려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또한, BBC가 한국의 20대 자살률이 증가하고 있다고 보도했으나이러한 분석은 관측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지난 10년간의 20대 자살률 통계 역시 전체적인 자살률과 마찬가지로 불규칙한 증감 경향을 보였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5b700001.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97pixel, 세로 947pixel  

 [그림 6] 2013~2023년 인구 만 명당 자살자 수

 

사회적 반향 

o (; introduction)

 2025년 2, BBC는 배우 김새론의 사망 사건을 보도하는 과정에서 한국의 높은 자살률 문제를 함께 조명했다해당 보도에서 BBC는 "한국은 선진국 중 자살률이 가장 높은 나라 중 하나이며전체 자살률은 감소하고 있지만 20대 자살률은 증가하고 있다"는 내용을 전했다

 

o (; development)

 이후 다수의 국내 언론들이 BBC의 해당 기사를 인용 보도하며 한국의 자살률 통계 또한 역수입함으로써 한국 연예계의 정신 건강 문제와 사회 전반의 자살률이 재조명되었다그러나 BBC의 보도 내용이 공식 통계와 일치하는지 여부는 확인되지 않아 논쟁의 여지를 남겼다

 

(; turn)

 본 연구 결과, BBC의 보도가 통계적 사실과 완전히 일치하지는 않음이 확인되었다한국의 전반적인 자살률 감소 추세는 일관적인 양상을 보이지 않았다통계청의 공식 자료에 따르면한국의 자살률은 특정 시기에 감소하기도 했으나, 2022~2023년에는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최신 데이터를 포함한 장기적 추세를 고려할 때한국의 자살률이 "감소하고 있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20대의 자살률 증가 역시 BBC를 통해 보도된 내용과 상이함이 드러났다. BBC는 20대의 자살률이 증가함을 보도했으나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대 자살률은 일정한 패턴 없이 증감을 반복하는 경향을 보였다. 2017~2021, 2022~2023년을 제외한 관측 구간에서는 20대 자살률이 감소하기도 했다따라서특정 시기의 증가를 근거로 "20대 자살률이 증가하고 있다"고 일반화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이처럼 BBC가 보도한 내용은 한국의 공식 통계를 충분히 반영하지 않았으며이에 따라 BBC 보도를 인용한 국내 언론 기사들 역시 동일한 오류를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o (; conclusion)

 BBC의 보도는 한국의 연예계 문화와 관련된 비판을 강조하는 과정에서 자살률 관련 통계를 단순화하거나 선택적으로 해석하는 오류를 범한 것으로 보인다이러한 사례는 해외 언론이 한국에 대해 보도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정보 왜곡 및 통계 해석 오류 문제를 다시금 환기하는 계기가 되었다이번 사례를 통해국내 언론이 해외 보도를 인용할 때 원문을 맥락에 맞게 해석하고 검증하는 과정의 필요성이 드러났다해외 언론 인용 보도 시에도 원문의 데이터 출처와 정확성을 면밀히 검증하는 경각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