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증대상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2025년 8월 10일 참석한 기자회견에서 가자지구의 기아 현황에 대한 외신 보도를 “국제적 가짜뉴스 캠페인(global campaign of lies)”이라고 칭하며 비판하였다. 특히 각국 언론을 통해 확산되고 있는 사진 자료 속 가자지구 저체중 아동들의 체형은 기아가 아닌 척수성 근위축증(Spinal Muscular Atrophy), 뇌성마비(Cerebral Palsy) 등과 같은 기타 기저질환이 원인이라고 주장하며 이를 두고 “가짜 굶주린 아이들(fake starving children)”이라고 발언하였다.

검증명제
가자지구 아동들의 저체중의 주요 원인은 기아가 아니다.
검증방법
1. 취재방법
본 연구는 사실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문헌 조사를 활용하였다. 유엔(United Nations, UN), 유엔아동기금(UNICEF, 유니세프), 세계 보건 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등 관련 국제단체가 공개한 인도주의적 상황 보고 및 보도자료를 분석해 전반적인 상황의 심각성을 파악했으며, 전미공영라디오(National Public Radio, NPR)와 같이 공신력 있는 언론사의 현장 보도를 분석해 개별 사례와 구체적인 현장 상황을 확인하였다. 현장 보도의 경우, 발언의 당사자인 네타냐후 총리가 해외 언론이 거짓 선동을 주도한다고 주장했으므로, 조작의 여지가 상대적으로 적은 실제 아동들의 사례와 아동의 보호자 및 의료진 진술을 위주로 조사하였다.
2. 참고문헌
UN News. (2025). Gaza: Acute malnutrition among children hits record high. United Nations. https://news.un.org/en/story/2025/08/1165601
United Nations Human Rights Office. (2025). Gaza: Israel must restore UN humanitarian system to stave off starvation, say UN experts. United Nations. https://www.ohchr.org/en/press-releases/2025/08/gaza-israel-must-restore-un-humanitarian-system-stave-starvation-say-un
UNICEF. (2025). UN Agencies warn key food and nutrition indicators exceed famine thresholds in Gaza. https://www.unicef.org/press-releases/un-agencies-warn-key-food-and-nutrition-indicators-exceed-famine-thresholds-gaza
Baba, A., & Feng, E. (2025). Photos of a starving baby in Gaza shocked the world. Here’s how he’s doing now. NPR. https://www.npr.org/2025/08/05/nx-s1-5488798/gaza-baby-starvation-update
Da Silva, C. (2025). Children in Gaza struggle to survive amid bombs and aid blockade. NBC News. https://www.nbcnews.com/news/world/children-gaza-hunger-aid-blockade-israel-rcna201085
검증내용
가자지구 아동들이 저체중 양상을 보이는 주된 원인은 다수의 국제기구 보고서, 현장 구호 단체 증언, 그리고 의료 전문가의 소견에 기반해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 내용은 2025년 현재 가자지구의 심각한 인도주의적 위기와 식량 부족에 따른 현황을 정리하였다.
1.국제기구들의 공식 데이터를 근거로 한 가자지구의 기아 및 영양실조 심각성
유엔 인도주의 업무 조정국(UN Office for the Coordination of Humanitarian Affairs, OCHA)은 2025년 7월에만 약 12,000명의 5세 미만 아동이 급성 영양실조(acute malnutrition) 상태로 확인되었으며, 이 중 2,500명 이상이 생명을 위협하는(the most life-threatening form) 중증 급성 영양실조(severe acute malnutrition)를 겪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OCHA는 또한 동년 3~5월에는 12%였던 중증 급성 영양실조 아동의 비율이 몇 달 후인 6~7월을 기해 18%로 증가했으나, 인도주의적 접근의 제약으로 인해 영양 보충제가 필요한 아동 290,000명 중 8,700명만이 지원을 받을 수 있었다고 지적하였다(UN News, 2025).
T

[사진 1] 가자 시(Gaza City)에 위치한 페이션트 소사이어티 병원(Patient Society Hospital) 침대에 누워 있는 한 아동 영양실조 환자의 모습
<출처: 유니세프/Mohammed Nateel>
유엔 인권이사회(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uncil)가 임명한 독립적 인권 전문가들(independent human rights experts)은 가자지구 인구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50만 명 이상이 기근에 직면해 있으며, 나머지 인구는 비상 수준(emergency levels)의 굶주림을 겪고 있다고 경고하였다. 전문가들은 특히 5세 미만 아동 32만 명 전원이 급성 영양실조 위험에 처해 있으며, 이는 장기적인 신체 및 정신 건강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음을 명시하였다(United Nations Human Rights Office, 2025).
2025년 7월에 발간된 유엔 세계식량계획(WFP), 유엔아동기금(UNICEF),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통합식량안보단계(Integrated Food Security Phase Classification, IPC) 보고서는 가자지구 일부 지역에서 기근의 세 가지 핵심 지표 중 두 가지인 식량 소비(food consumption)와 급성 영양실조가 이미 초과되었음을 밝혔다. IPC는 다중 이해관계자 플랫폼으로써 국제적으로 인정된 과학적 기준에 따라 유엔 세계식량계획(World Food Plan, WFP)을 포함한 기타 유엔 기구 및 비정부기구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아 위기의 심각성과 규모를 판단한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 인구의 3분의 1 이상(39%)이 하루종일 식사를 하지 못하는 상황이며, 가자 시의 5세 미만 아동 영양실조율은 두 달 만에 네 배 증가하여 16.5%에 달하였다. 유니세프는 동년 6월에 6,500명, 7월 첫 2주간 5,000명의 아동이 영양실조 치료를 위해 입원했으며, 필수 영양 치료 서비스(essential nutrition treatment services)의 15% 미만만이 기능하고 있다고 밝혔다(UNICEF, 2025).
2. 구호 현장에서 목격된 기저질환과 저체중의 상관관계
가자지구에서 극심한 영양실조를 겪는 아동 사례로 국제 언론에 인용된 모하마드 알-모타왁(Mohammad Al-Motawaq, 이하 모하마드)의 경우, 네타냐후 총리가 기자회견에서 언급한 질환 가운데 하나인 뇌성마비를 가지고 있다. [사진 3]은 2025년 8월 당시 생후 18개월이었던 모하마드가 어머니의 품에 안겨 찍은 사진으로, NPR 보도를 통해 널리 알려진 그의 여윈 모습이 세계 각국 언론의 관심을 끌었다(Baba & Feng, 2025).

[사진 2] 생후 18개월의 모하마드가 어머니의 품에 안겨 있는 모습
<출처: NPR/Anas Baba>
NPR 보도에 따르면 사진이 공개된 후 일부 이스라엘 내 지지자들(Israel's supporters)은 모하마드가 뇌성마비로 인해 영양실조 상태로 보이는 것이라고 주장하며, 언론이 가자지구의 기아 상황을 과장했다고 비판하였다. 그러나 가족의 증언에 따르면 모하마드는 최대 4일 동안 음식을 전혀 먹지 못한 경우도 있었다. 또한 가자지구 내에 위치한 환자친구자선병원 소속(Patient's Friends Benevolent Society Hospital) 영양 전문의(nutrition specialist)이자 모하마드의 주치의인 수잔 모하메드 마루프 박사(Dr. Suzan Mohammed Marouf)는 2025년 1월 첫 진료 당시 아이가 “심각한 영양실조 상태”였다고 증언하였다. 동년 2월에 촬영된 [사진 4]는 비타민과 우유 보충제를 투여하는 병원 치료를 받고 건강을 회복한 모하마드의 모습을 담고 있다(Baba & Feng, 2025).

[사진 3] 2025년 2월에 촬영한 모하마드의 모습
<출처: NPR/Hidayat Al-Motawaq>
하지만 이후 계속되는 전쟁과 봉쇄로 식량 공급 상황이 악화되면서 모하마드의 체중은 다시 급격히 줄어들었다. 의학적으로 정상 발달 범주에 속하는 몸무게는 최소 10~12kg 정도라고 전문가들이 지적하고 있으나, 2025년 8월 기준 모하마드의 체중은 약 7kg에 머물고 있다. 모하마드를 치료하는 의사들이 아이가 뇌성마비 외에도 유전적 질환인 근육 위축증(muscular dystrophy)을 앓고 있어 영양실조에 보다 취약할 수 있음을 인정했으나, 의료진은 아이의 상태가 같은 환경에 처한 일반 아동들에게서도 나타나는 전형적 사례이며 아이가 기존에 가지고 있던 질환만으로 설명될 수 없다고 강조하였다(Baba & Feng, 2025).
미국의 지상파 방송사 NBC의 2025년 4월 보도는 가자지구에 거주하는 6세 아동 오사마 알-라캅(Osama Al-Raqab, 이하 오사마)의 사례를 다루었다. 낭포성 섬유증(cystic fibrosis)을 앓아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오사마는 취재 당시 뼈가 드러나는 앙상한 체형을 보여 주었으나, 그의 가족(aunt)은 오사마가 전쟁 이전부터 질환을 가지고 있었으며, 분쟁 발발 몇 달 전만 해도 “행복하고 생기 넘치는(happy and full of life)” 상태였다고 증언하였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오사마의 가족은 취재 사진을 촬영하는 오사마의 곁에 분쟁 이전의 사진을 나란히 두었다(Da Silva, 2025).

[사진 4] 2025년 4월에 촬영한 오사마의 모습. 우측 휴대기기 속 사진은 가자지구에서 분쟁이 발발하기 이전 오사마의 모습
<출처: NBC News/Chantal Da Silva>
검증결과
거의 거짓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자료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가자지구 아동들의 저체중의 주된 원인은 기아가 아니다"라는 주장은 대체로 거짓이다. 유엔 및 주요 구호 단체들은 가자지구의 기아 및 영양실조가 전례 없는 수준으로 심각함을 보고했으며, 이로 인해 저체중 상태에 도달한 아동들의 모습을 시각 자료로 공개하였다. 특정 아동의 기저질환이 영양실조에 취약성을 더할 수는 있으나, 언론에 보도된 실제 사례를 분석했을 때, 저체중의 근본적인 원인이 기아가 아닌 기저질환이라는 주장은 근거가 충분하지 않다.
사회적 반향
1. 기(起; introduction)
지속되는 분쟁으로 인해 국제사회가 가자지구의 기아 상황을 비판하고 인도주의적 위기 고조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2025년 8월에 진행한 기자회견을 통해 가자지구 내 대규모 기아의 존재를 부정하며, 기저질환으로 인해 체중이 감소한 아이들을 해당 지역의 영양실조 환자라고 보도하는 해외 언론이 진실을 왜곡한다고 비판하였다.
2. 승(承; development)
네타냐후 총리가 가자지구의 기아 문제를 부인하고 국제 언론의 보도를 거짓이라고 주장하자 일부 이스라엘 지지자들은 이를 하마스의 선전에 맞서는 ‘진실’로 받아들이는 경향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다수의 인도주의 구호 단체들과 공신력 있는 언론 등에서는 이스라엘의 접근 제한과 식량 정책이 가자지구 내 심각한 영양실조를 비롯한 인도주의적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는 상반된 입장을 표명하며 강력히 반발하였다.
3. 전(轉; turn)
검토 결과, 네타냐후 총리의 주장은 대체로 거짓임이 밝혀졌다. 유엔을 포함한 다수의 인도주의 구호 단체가 가자지구 내 전례 없는 기아 및 영양실조에 대해 공식적 보고를 통해 일관되게 증언하였다. 공신력 있는 언론사가 보도한 실제 아동들의 사례는 설사 기저질환이 있는 아동이라도 식량 부족이 직접적으로 저체중과 같은 건강 악화를 초래한다는 점을 명확히 보여주며, 네타냐후 총리의 의학적 주장을 일반화하기에는 어폐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4. 결(結; conclusion)
네타냐후 총리의 발언은 가자지구의 인도주의적 위기를 은폐하고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개입을 회피하려는 시도로 평가될 수 있다. 이러한 거짓 정보 내지 가짜 뉴스는 기아로 고통받는 분쟁 지역 주민들의 현실을 부정하고, 구호 단체들의 활동을 위축시키며, 인도적 지원에 대한 국제적 여론을 혼란시키는 결과를 낳울 수 있다. 더불어, 이와 같은 발언은 비윤리적인 기아 정책의 책임을 모호하게 만들고, 사실 기반의 국제적 대응을 저해하며, 진실에 대한 불신을 심화시킴으로써 인도주의적 위기 해결을 더욱 어렵게 만들어 종국에는 더 많은 생명을 위험에 처하게 할 가능성마저 존재한다.